2025년 자동차 말소등록 신청 방법과 영구·일시 말소 차이 정리
반응형
차량을 폐차하거나, 해외로 수출하거나, 장기간 운행하지 않을 때는 자동차 말소등록을 해야 해요. 그냥 폐차장에서 차를 없앴다고 끝이 아니고, 말소등록까지 해야 세금과 보험료가 정지되고 소유권도 정리됩니다. 오늘은 2025년 기준 자동차 말소등록 방법과 영구 말소와 일시 말소의 차이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자동차 말소등록이란?
말소등록은 자동차관리대장에서 해당 차량을 공식적으로 없앰으로써, 더 이상 운행하지 않는 상태로 등록하는 것을 말해요.
- 영구 말소: 폐차했을 경우
- 일시 말소: 수출 예정이거나, 장기간 운행 중단할 경우
말소등록을 하지 않으면?
- 자동차세 계속 부과
- 자동차보험료 자동 연장
- 책임보험 미가입 과태료 발생
- 차량 도난·분실 시 법적 책임
따라서 차량을 처분했다면 반드시 말소등록까지 해야 세금과 법적 책임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어요.
영구 말소등록 절차 (폐차 시)
- 폐차장에서 폐차인수증명서를 발급받음
- 자동차등록사업소 또는 구청 차량관리과 방문
- 말소등록 신청서 작성
- 등록증, 번호판 2개, 신분증 제출
- 자동차세 완납증명서 제출
수수료: 2,000~3,000원 내외
말소 완료 후 '말소사실증명서'를 받게 됩니다. 보험 해지나 환급 시 제출하면 돼요.
일시 말소등록 절차 (수출·운행 정지)
- 차량 수출 예정 또는 장기 미운행 사유서 작성
- 등록증, 번호판 2개, 신분증 지참
- 자동차등록사업소에 신청
일시 말소는 2년 단위 갱신 가능하며, 필요 시 다시 등록도 가능합니다.
말소등록 후 처리할 것들
- 자동차 보험 해지 및 환급 신청
- 지자체에 환경개선부담금 정산
- 말소사실증명서 보관
보험 환급이나 보조금 정산 시 말소 사실 증명이 필수로 요구됩니다.
온라인으로도 신청 가능할까?
현재 말소등록은 온라인 신청 불가입니다. 폐차장에서 등록사업소까지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차량 소유자가 직접 방문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